
이승준
Seungjun Lee
henry174 at ajou.ac.kr
Research interests
Cloud computing, Distributed System, Serverless Computing, Federated Learning
Introduction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인공지능학과를 재학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Cloud Computing, 그 중 특히 serverless computing에서 function composition에 대해서 관심이 있고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Publications
2022
정현석,; 유미리,; 윤대건,; 이승준,; 오상윤,
재난 대응 기계학습 모델의 Data Drift 문제에 대한 MLOps 기반 대응 기법🇰🇷 DomesticConference
2022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춘계학술대회,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2.
@conference{정현석2022재난,
title = {재난 대응 기계학습 모델의 Data Drift 문제에 대한 MLOps 기반 대응 기법},
author = {정현석 and 유미리 and 윤대건 and 이승준 and 오상윤},
url = {https://www.earticle.net/Article/A412404},
year = {2022},
date = {2022-05-21},
urldate = {2022-05-21},
booktitle = {2022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춘계학술대회},
pages = {pp.473-476},
publisher =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abstract = {기계학습에서 Data Drift는 정확도에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문제이며, 재난 대응과 같이 모델의 잘못된 예측 피해가 큰 분야에서 더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 분야 Data Drift 문제에 대해 MLOps를 이용하여 모델의 재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으로 MLOps 기법과 툴들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Kaggle 데이터와 MLFlow를 기반으로 정확도 실험을 수행하여 주장을 검증하였다.},
keywords = {},
pubstate = {published},
tppubtype = {conference}
}
2021
Lee, Seungjun; Yoon, Daegun; Yeo, Sangho; Oh, Sangyoon
Mitigating Cold Start Problem in Serverless Computing with Function Fusion🌏 InternationalJournal Article
In: Sensors, 21 (24), 2021, ISSN: 1424-8220.
@article{s21248416,
title = {Mitigating Cold Start Problem in Serverless Computing with Function Fusion},
author = {Seungjun Lee and Daegun Yoon and Sangho Yeo and Sangyoon Oh},
url = {https://www.mdpi.com/1424-8220/21/24/8416},
doi = {10.3390/s21248416},
issn = {1424-8220},
year = {2021},
date = {2021-12-23},
urldate = {2021-12-16},
journal = {Sensors},
volume = {21},
number = {24},
abstract =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becoming ubiquitous in many applications, serverless computing is also emerging as a building block for developing cloud-based AI services. Serverless computing has received much interest because of its simplicity, scalability, and resource efficiency. However, due to the trade-off with resource efficiency, serverless computing suffers from the cold start problem, that is, a latency between a request arrival and function execution. The cold start problem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overall response time of workflow that consists of functions because the cold start may occur in every function within the workflow. Function fusion can be one of the solutions to mitigate the cold start latency of a workflow. If two functions are fused into a single function, the cold start of the second function is removed; however, if parallel functions are fused, the workflow response time can be increased because the parallel functions run sequentially even if the cold start latency is reduced. This study presents an approach to mitigate the cold start latency of a workflow using function fusion while considering a parallel run. First, we identify three latencies that affect response time, present a workflow response time model considering the latency, and efficiently find a fusion solution that can optimize the response time on the cold start. Our method shows a response time of 28%–86% of the response time of the original workflow in five workflows.},
keywords = {},
pubstate = {published},
tppubtype = {article}
}
Yu, Miri; Lee, Seungjun; Oh, Sangyoon
Energy-aware container migration scheme in edge computing for fault-tolerant fire-disaster response system🌏 InternationalConference 📃 In press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xt Generation Computing 2021, 2021.
@conference{Yu2021container,
title = {Energy-aware container migration scheme in edge computing for fault-tolerant fire-disaster response system},
author = {Miri Yu and Seungjun Lee and Sangyoon Oh},
year = {2021},
date = {2021-11-05},
urldate = {2021-11-05},
booktitle =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xt Generation Computing 2021},
abstract = {In light of the recent advancements made in IT, many researchers are studying and exploring ways to minimize damage from fire disaster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loud technology. With the introduction of edge computing, fire-disaster response software systems have made significant progress. However, existing studies often do not consider the response to a sudden power supply cut-off due to fire. In this study, we propose a container migration scheme based on the first-fit-decreasing algorithm of bin-packing problem and 0-1 knapsack algorithm to provide fault tolerance for containers running on edge servers that are powered off.},
keywords = {},
pubstate = {published},
tppubtype = {conference}
}
Lee, Seungjun; Yoon, Daegun; Oh, Sangyoon
Imitation learning for VM placement problem using demonstration data generated by heuristics🌏 InternationalConference 📃 In press
17th Int. Conference on Data Science (ICDATA’21), 2021.
@conference{lee2021imitation,
title = {Imitation learning for VM placement problem using demonstration data generated by heuristics},
author = {Seungjun Lee and Daegun Yoon and Sangyoon Oh},
url = {https://youtu.be/CmG3E1rWroQ},
year = {2021},
date = {2021-07-26},
urldate = {2021-07-26},
booktitle = {17th Int. Conference on Data Science (ICDATA’21)},
abstract = {Data centers are key components of cloud computing to run virtual machines. For saving the cost to operate data centers, it is important to decide how to allocate each virtual machine to a certain physical machine. Because the virtual machine placement problem is NP-Hard, there are many heuristics to obtain near-optimal solutions as quickly as possible. The reinforcement learning technique can be applied for virtual machine placement problem. However, if the problem size gets bigger, the convergence speed of reinforcement learning gets slower. The possible solution is that the agent imitates the behavior of given demonstration, called imitation learn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combining reinforcement learning with imitation learning. In our proposed approach, demonstration data is generated by simple heuristics not human experts.},
keywords = {},
pubstate = {published},
tppubtype = {conference}
}
이승준,; 여상호,; 오상윤,
Edge AI의 추론 과정을 위한 계층적 작업 분할 배치 기법🇰🇷 DomesticConference
2021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춘계학술대회,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1.
@conference{이승준2021edge,
title = {Edge AI의 추론 과정을 위한 계층적 작업 분할 배치 기법},
author = {이승준 and 여상호 and 오상윤},
url = {https://www.earticle.net/Article/A409319},
year = {2021},
date = {2021-05-13},
urldate = {2021-05-13},
booktitle = {2021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춘계학술대회},
pages = {26-29},
publisher =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abstract = {머신러닝 모델을 엣지 디바이스에 안정적으로 배포하기 위해서 기존 클라우드 기반의 머신 러닝 모델 배포는 높은 지연 시간으로 인해 머신 러닝 서비스의 질을 떨어트리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추론을 위한 입력 데이터의 전송 과정은 개인 정보의 유출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개인 정보 유출 및 통신 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엣지 서버 및 엣지 디바이스를 활용한 추론 과정의 정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팀은 효과적인 추론 과정의 정의를 위해 기존 분산 딥러닝의 모델 및 데이터 병렬화 파이프라인 기법에 기반하는 단일 추론 모델에 대한 엣지 서버-디바이스 간 모델 분할 기법 및 엣지에서 요청되는 독립된 다중 작업들에 대한 효과적인 스케쥴링 기법을 제안한다.},
keywords = {},
pubstate = {published},
tppubtype = {conference}
}
여상호,; 이승준,; 오상윤,
도시 재난 대응을 위한 Multi Objective 강화학습 모델 설계🇰🇷 DomesticConference
2021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춘계학술대회,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1.
@conference{여상호2021도시,
title = {도시 재난 대응을 위한 Multi Objective 강화학습 모델 설계},
author = {여상호 and 이승준 and 오상윤},
url = {https://www.earticle.net/Article/A409315},
year = {2021},
date = {2021-05-13},
urldate = {2021-05-13},
booktitle = {2021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춘계학술대회},
pages = {11-15},
publisher =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keywords = {},
pubstate = {published},
tppubtype = {conference}
}
여상호,; 이승준,; 오상윤,
학습 성능 향상을 위한 차원 축소 기법 기반 재난 시뮬레이션강화학습 환경 구성 및 활용🇰🇷 DomesticJournal Article
In: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10 (7), pp. 263–270, 2021.
@article{여상호2021학습,
title = {학습 성능 향상을 위한 차원 축소 기법 기반 재난 시뮬레이션강화학습 환경 구성 및 활용},
author = {여상호 and 이승준 and 오상윤},
url =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898295},
year = {2021},
date = {2021-01-01},
journal =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ume = {10},
number = {7},
pages = {263--270},
abstract = {
강화학습은 학습을 통해 최적의 행동정책을 탐색하는 기법으로써, 재난 상황에서 효과적인 인명 구조 및 재난 대응 문제 해결을 위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재난 대응을 위한 강화학습 기법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그리드, 그래프와 같은 환경 혹은 자체 개발한 강화학습 환경을 통해 평가를 수행함에 따라 그 실용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강화학습 기법을 실세계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 기존 개발된 재난 시뮬레이션 환경의 복잡한 프로퍼티를 활용하는 강화학습 환경 구성과 활용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제안 강화학습 환경의 구성을 위하여 재난 시뮬레이션과 강화학습 에이전트 간 강화학습 커뮤니케이션 채널 및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시뮬레이션 환경이 제공하는 고차원의 프로퍼티 정보의 활용을 위해 비-이미지 피쳐 벡터(non-image feature vector)에 이미지 변환방식을 적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본 제안 방식이 건물 화재 피해도를 기준으로 한 평가에서 기존 방식 대비 가장 낮은 건물 화재 피해를 기록한 것을 확인하였다.
},
keywords = {},
pubstate = {published},
tppubtype = {article}
}
강화학습은 학습을 통해 최적의 행동정책을 탐색하는 기법으로써, 재난 상황에서 효과적인 인명 구조 및 재난 대응 문제 해결을 위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재난 대응을 위한 강화학습 기법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그리드, 그래프와 같은 환경 혹은 자체 개발한 강화학습 환경을 통해 평가를 수행함에 따라 그 실용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강화학습 기법을 실세계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 기존 개발된 재난 시뮬레이션 환경의 복잡한 프로퍼티를 활용하는 강화학습 환경 구성과 활용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제안 강화학습 환경의 구성을 위하여 재난 시뮬레이션과 강화학습 에이전트 간 강화학습 커뮤니케이션 채널 및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시뮬레이션 환경이 제공하는 고차원의 프로퍼티 정보의 활용을 위해 비-이미지 피쳐 벡터(non-image feature vector)에 이미지 변환방식을 적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본 제안 방식이 건물 화재 피해도를 기준으로 한 평가에서 기존 방식 대비 가장 낮은 건물 화재 피해를 기록한 것을 확인하였다.
2020
Yeo, Sangho; Lee, Seungjun; Choi, Boreum; Oh, Sangyoon
Integrate multi-agent simulation environment and multi-agent reinforcement learning (MARL) for real-world scenario🌏 InternationalConference
202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vergence (ICTC), IEEE 2020.
@conference{yeo2020integrate,
title = {Integrate multi-agent simulation environment and multi-agent reinforcement learning (MARL) for real-world scenario},
author = {Sangho Yeo and Seungjun Lee and Boreum Choi and Sangyoon Oh},
url = {https://ieeexplore.ieee.org/abstract/document/9289369},
doi = {10.1109/ICTC49870.2020.9289369},
year = {2020},
date = {2020-01-01},
booktitle = {202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vergence (ICTC)},
pages = {523--525},
organization = {IEEE},
keywords = {},
pubstate = {published},
tppubtype = {conference}
}